
‘2024 부활절 퍼레이드 세미나, 신학적 의미와 성공개최를 위한 고찰’이 10월 27일(금) 서울 노량진 CTS기독교TV(회장 감경철) 본사 11층 컨벤션 홀에서 열렸다.
부활절 퍼레이드 세미나는 2024년 부활절 하루 전인 3월 30일에 광화문과 시청 일대에서 진행되는 ‘우리들의 목소리로 거리를 채워 밝은 내일을 노래하는, 2024 부활절 퍼레이드’의 신학적 의미와 성공적인 개최를 논의하기 위해 준비됐다.
세미나에 앞서 감경철 회장은 “한국교회를 섬겨온 순수복음방송 CTS와 한국교회총연합이 함께 2024 부활절 퍼레이드를 최선을 다해 준비하고 있다”면서 “지난해에 이어 두 번째로 열리는 ‘2024 부활절 퍼레이드’는 분열과 갈등으로 상처받은 우리 사회를 치유하고, 이 땅에 복음의 빛이 비치게 된 근현대사의 발자취를 돌아보며, 시민들과 함께 부활의 기쁨을 나누는 열린 축제로 구성될 것”이라고 전했다.
첫 번째 의제 발제를 맡은 라영환 교수(총신대학교)는 ‘절기가 아닌 ’타인의 삶‘으로서의 부활절 퍼레이드’라는 주제로 발표했다. 라 교수는 초대교회는 본래 “는 주일의 제외하고는 다른 절기가 없었다”면서 “4세기 이후 교회가 제도화되면서 교회력에 성모 마리아와 성자들의 축일이 더해지면서 예수 그리스도의 구원 사역을 중심으로 한 교회력의 의미가 퇴색”됐다고 지적했다. 그렇기에 “부활절 퍼레이드를 절기와 연결시키는 시도는 반대한다. 그러나 예수님이 부활하심을 문화화해서 세상에 부활을 증거하려는 시도는 가능하다고 생각한다”며 “부활절 퍼레이드를 통해 세상에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을 통해 회복된 참된 아름다움, 하나님의 샬롬이 무엇인지 세상에 보여주고, 세상은 ‘타인의 삶’에 나타난 아름다움으로 인해 변화되었으면 한다”고 했다.
이동열 교수(합동신학대학교)는 ‘부활을 입고 부활의 소망을 선포하다’를 주제로 발표했다. 이 교수는 “그리스도의 부활은 단지 죽음 이후의 영원한 삶을 보증하신 사건이 아닌 그리스도를 믿는 성도들에게 천국의 삶을 현재 누리도록 하신 사건”으로 부활이 “단지 교회 안에 기쁜 소식으로 머물러서는 안 된다”면서 “부활절에 교단과 교회가 하나 되어 세상 가운데 선포하는 부활의 기쁜 소식이 우리가 가진 진정한 소망에 대한 이유를 세상에 전할 수 있는 접점이 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를 전했다.
세 번째 발제에서 안교성 교수(장로회신학대학교)는 ‘성토요일(Holy Saturday) 행사에 관한 보고서’를 발표했다. 안 교수는 성주간(Holy Week)와 성토요일에 대한 역사와 함께 퍼레이드와 성토요일에 대한 신학적 논지를 제시했다. 또한 “예수 그리스도의 고난, 죽음, 장례, 부활을 기념하는 성주간의 마지막 날. 부활의 참 의미를 되새기는 퍼레이드가 되어야 한다”면서 “신학적 해석과 현실 상황을 충분히 고려한 전이적(transitional) 행사로 알차게 진행되어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전요섭 교수(성결대학교)는 ‘<부활절 페레이드>의 의미와 방향’을 주제로 퍼레이드의 의미와 효과, 부활절 퍼레이드에 대한 성경적 검토, 다른 다라의 부활절 퍼레이드 및 향후의 방향에 대해 발표했다. 전 교수는 “부활절 퍼레이드가 불교의 연등회를 연상할 수 있지만 기독교 전통행사로 세계 각국에서 오랜기간 개최되는 만큼 우리나라에서도 그 순수성을 유지하며 다채로운 퍼포먼스와 창의적 기획으로 대표적인 기독교문화행사로 자리잡기를 바란다”고 제안했다.
세미나를 마치며 CTS 문화사업본부의 조종윤 본부장은 “오늘 세미나를 통해 이번 퍼레이드가 갖는 문화 사역의 의미를 되새기고, 한국교회의 의견을 적극 반영해 모두가 동참할 수 있는 열린 축제가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